티스토리 뷰

-------------------------------------------------------------------------------------------
우선 WINDEF.H를 보면 다음을 알 수 있다.
CALLBACK = WINAPI = PASCAL = __stdcall
WINAPIV = __cdecl
즉 window에서의 calling convention은 크게 __stdcall과 __cdecl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럼 __stdcall과 __cdecl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자.
공통점은 함수의 인자를 스택에 쌓을 때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쌓기 때문에 가장
첫번째 인자가 스택의 맨 위로 올라온다.
차이점은 __stdcall은 호출된 함수, 즉 __stdcall로 정의된 함수 내부에서 스택이
청소되고 __cdecl은 호출한 함수에서 스택을 정리하여 준다. __cdecl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__cdecl로 정의된 함수는 가변 인자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호출한
함수에서는 가변 인자의 스택의 크기를 알지만 호출된 함수에서는 가변 인자의 스택의
크기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흔히들 OS에서 사용되는 함수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게
DLL로 만들 때 함수를 __stdcall로 선언해야 한다고 말한다.
왜 그럴까?
그것은 __stdcall이 서로 다른 프로그래밍언어 사이에서 통일된 표준이기 때문이다.
OS는 특정 언어만을 지원할 수 없고 또한 서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서로 다른
함수의 인자 처리 방식을 사용한다면 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여진 함수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표준이 필요하였고
그것이 __stdcall인 것이다.
사실 이 부분은 내 주관적인 판단일 뿐이다.

또한 __stdcall이 __cdecl로 선언되는 것보다 프로그램의 크기가 작아지고 빠르다고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 부분은 데브피아에 '''고임''' 님이 어셈블리 코드까지 제시하면서 자세히 말씀해
주셨다. 아래는 고임님의 글에 본인이 약간의 수정을 가한 것이다.

cdecl 방식에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함수의 형태가 다음과 같다고 칩시다.  

MyFunc  Proto :DWORD,:DWORD,:DWORD,:DWORD

Invoke MyFunc, 1, 2, 3, 4

위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ush    4
 Push    3
 Push    2
 Push    1
 Call    MyFunc
 Add      sp, 16  ;; -->> 스택 정리 코드..
   
자 이것은 MyFunc의 인자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택에 집어 넣습니다.  
그리고 보다시피 스택 정리 코드가 MyFunc이 리턴된 다음에 있습니다. 이는 함수를
호출한 쪽에서 호출된 함수가 리턴된 다음에 스택을 정리한다는 뜻입니다.

stdcall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Invoke    WinMain, hInstance, NULL, NULL, SW_SHOWDEFAULT

call 명령으로 풀어쓰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Push    SW_SHOWDEFAULT
   Push    NULL
   Push    NULL        
   Push    hInstance    
   Call    WinMain

여기서 보면 스택을 정리하는 코드가 빠져 있습니다. 따라서 스택 정리 코드가 없어진
stdcall 방식이 실행크기가 작아지고 속도도 명령어 하나 만큼이나 빨리지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한가지 의구심이 듭니다.
어차피 호출당한 함수에서 해제를 하나 아니면 호출한 함수에서 해제를 하나
똑같이 해제를 하는데 호출당한 함수에서 해제를 하는 것이 속도나 크기가 더 줄어드는
것일까요?  
엎어치나 되치나.. 스택을 어디선가 정리는 해야할텐데 도대체 ? 어떤 꽁수로? 이걸 해결했단말가?
여기에는 8086 아키텍쳐에 관련된 명령어가 그 원인으로 등장합니다.  
그리고 스택을 정리한다는 것 자체가 그 함수를 호출한 뒤에  
Add sp, 16으로 스택포인터를 인자의 크기만큼 변경을 시킨다는 이야기입니다.  
근데 여기서 프로시저 즉 함수를 다 수행했을때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될 때 쓰이는 명령어는 ret입니다.  
(프로시저와 함수라는 용어를 병행하고 있는데.. ㅡㅡ;;  그냥 하나의 분리된 코드 덩어리다 라고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정확히 보면 서로 의미가 틀리지만.. ㅡㅡ; )
함수 시작하고, 함수가 끝났을때 ret 명령어로 호출한 부분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이 명령어는 실행되던 함수를 바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스택을 정리할 시간이 전혀 없었습니다. 이에 8086설계자들은 함수에서 리턴이 될때
스택포인터(SP)를 적절한 위치로 리셋을 시킬 수 있는 ret명령어를 새로 제공을 하여
이 문제를 아주 손쉽게 해결해 버렸습니다.  
즉 ret, n 이라는 명령어를 제공했다는 셈이지요..  
멋진 속담으로는 도랑치고 가재잡고 또는 멋진 고사성어로는 일석이조 라는 말로 표현된다
하겠습니다.  
어차피 리턴할 걸 스택 포인터가 정리되는 부분으로 아예 리턴을 해버리란 이야기이지요..  
이것은 가만히 앉아서 프로그램의 속도와 크기를 이점을 살리는 일이었습니다.  
 Add      sp, 16  ;; -->> 추가된 코드..  
호출하는 부분에서 이렇게 코딩하는 대신
호출 받는부분에서 리턴할때 ret, 16으로 해결했다는 이야기지요..  
이래서 속도가 더빨라집니다. 크기도 줄어들구요..  
생각을 한번 해보자구요... 이런식의 함수가 굉장히 많이 호출된다면..  
크기나 실행 시간이 증가되는건 당연하겠지요..

마지막으로 정리를 하자면..
첫째, stdcall 방식은 cdecl 방식보다 빠르지만 가변 인자를 지원하지 못한다.
둘째, OS가 호출하는 함수나 DLL에 들어가는 함수는 가능하면 stdcall을 쓴다.

갑자기 __stdcall 이 궁금해졌어. | C / C++ 자료 2006.06.26 00:53
이태훈(nzthree) http://cafe.naver.com/s134/257 이 게시물의 주소를 복사합니다

함수호출 방식이 __cdecl, __pascal, __stdcall로 여러 가지가 있는 이유는 윈도우즈의 역사성에 있다. 우선 win16에서는 실행파일의 크기가 줄어들고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로 pascall 방식을 사용 했고 win32에서는 가변매개인자를 지원하는 함수를 제외한 모든 함수들은 __stdcall을 사용 한다. 만약 c 방식의 함수호출을 원한다면 __cdecl을 명시해 주어야 한다.(윈도우즈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우선 c 방식의 함수 호출과 pascal 방식의 함수호출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첫 번째로 함수호출후 종료 시점에 호출한 함수의 스택을 정리하는 주체가 호출한 함수이냐 아니면 호출당한 함수이냐의 차이이다. 두 번째는 매개인자를 스택에 넣는 방향에 따라 나눈다. 즉,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가 있다.

(언더바는 생략가능함 ) 1.인수를 스택에 집어넣는 방향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뉘고       pascal : 인수를 스택에 저장하는 순서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다.       cdecl : 인수를 스택에 저장하는 순서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한다.      stdcall : 인수를 스택에 저장하는 순서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한다. 2.스택에 인수를 pop 하는 주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뉘고.      pascal : 호출을 당하는 쪽이 스택공간을 삭제한다.      stdcall : 호출을 당하는 쪽이 스택공간을 삭제한다.     cdecl : 호출을 하는 쪽이 스택공간을 삭제한다. 이렇게 stdcall은 pascal방식과 cdecl방식을 혼합한 형태를 띄운다

자 이제는 WinMain함수를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WinMain은 다음과 같이 선언되어 있다.

int APIENTRY WinMain( HINSTANCE hInst, HINSTANCE hPrevInst, LPSTR pCmdLine, int nCmdShow )

APIENTRY는 WINAPI와 같은 형식을 나타낸다. 이것은 FAR __stdcall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참고로 CALLBACK은 __stdcall로 정의되어 있다. 그럼 WINAPI와 __cdecl 함수의 호출 방식의 차이점을 예제로 알아보도록 하자. 아래에 두 방식으로 호출되는 간단한 예제가 있다.

#include "stdafx.h"

int __stdcall func(int i,int j);

int __cdecl func2(int i,int j);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func(1,2);

       func2(2,3);

       return 0;

}

int __stdcall func(int i,int j)

{

       int r;

       r=i+j;

       return r;

}

int __cdecl func2(int i,int j)

{

       int r;

       r=i+j;

       return r;

}

이 함수들을 호출하는 부분을 디스어셈블 해 보갰다.

       func(1,2);

00411A1E  push        2   

00411A20  push        1   

00411A22  call        func (411069h)

       func2(2,3);

00411A27  push        3   

00411A29  push        2   

00411A2B  call        func2 (4110FFh)

00411A30  add         esp,8 <-------------- cdecl의 함수호출의 경우는 이 부분이 추가됨

       return 0;

...

...

00411AA0  ret         8    <------- func가 종료될 때

...

00411AE0  ret              <--------func2가 종료될때

...

위에 보면은 func를 호출할 때는 없는 코드가 func2에는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바로 스택을 정리 해주는 코드이다. add         esp,8 이라는 것이다. 모든 함수 호출 형식이 이와 같았다면.. 실행 화일 코드에 add         esp,8라는 명령어가 더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이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pascall 방식이 실행크기가 작아지게 된 것이다. 파스칼 호출 방식은 속도도 저 명령어 하나 만큼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는 8086 아키텍쳐에 관련된 명령어가 그 원인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스택을 정리한다는 것 자체가 그 함수를 호출한 뒤에 add         esp,8으로 스택포인터를 인자의 크기만큼 변경을 시킨다는 이야긴데...근데 여기서 프로시저 즉 함수를 다 수행했을때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될 때 쓰이는 명령어는 ret이다. 함수 시작하고, 함수가 끝났을때 ret 명령어로 호출한 부분으로 넘어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 명령어는 실행되던 함수를 바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스택을 정리할 시간이 전혀 없다. 이에 8086설계자들은 함수에서 리턴이 될 때 스택포인터(SP)를 적절한 위치로 리셋을 시킬 수 있는 ret명령어를 새로 제공을 하여 이 문제를 아주 손쉽게 해결해 버렸다. 즉 ret, n 이라는 명령어를 제공했다는 셈이다..

어차피 리턴할 걸 스택 포인터가 정리되는 부분으로 아예 리턴을 해버리란 이야기다.. 이것은 가만히 앉아서 프로그램의 속도와 크기를 이점을 살리는 것이다.

add         esp,8   ; -->> 추가된 코드..

호출하는 부분에서 이렇게 코딩하는 대신 호출 받는부분에서 리턴할때 ret, 8으로 해결했다는 것이다. 이래서 속도가 더빨라지는 것이다. 크기도 줄어들고..... 생각을 한번 해보자..... 이런식의 함수가 굉장히 많이 호출된다면..  크기나 실행 시간이 증가되는건 당연하지 않겠는가 ? 이 이유로 속도와 크기가 아주 중요시 되던 시절에(windows 3.0, 3.1이 널리 사용되던 시절에) OS/2와 Windows설계자들은 API함수를 설계할때 프로그램이 느려지고 크기가 커지는 C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pascal이나 fortran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으로 스택 프레임을 설계 하게 되었다. 바로 이런 이유가 바로 pascal방식에 비교해서 바로 cdecl의 단점이 되는 것이다. 자 이번에는 다시 위의 cdecl 호출의 장점을 보게 되면.. 가변매개인자를 사용할 수가 있다는 것인데... 즉, 매개인자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집어 넣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다.

이것은 인자의 첫번째가 어디인지 확실하다는 것이다. 즉 알려진 장소에서 첫번째 인자를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으로 가변인자를 허용할 수 있다. 호출이 되었을대 스택의 맨 상위부분이 인자의 첫번째임은 확실하니까.... 이것이 cdecl방식의 장점이 되는 것이다. 함수호출이 끝난후 스택을 정리할 때 호출한쪽에서는 정확하게 Stack을 사용한 사이즈를 알고있기 때문에 문제가되지 않지만 호출당한쪽에서는 또다른 정보를 가지고 사용한 Stack의 사이즈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stdcall은 함수호출 방식은 파스칼을 따르고 있지만 가변매개인자는 지원하지 못하는 것이다. 가변매개인자를 꼭 사용해야만 한다면 반드시 cdecl을 사용해야만 한다.

: 이렇게 말은 많이 써놨지만. 제일 중요한 핵심은 WIN32 이랑 __stdcall 은 같다는거.

호출 규약(calling convention)을 지정합니다. 다음은 MSDN에서 발췌한 호출규약 요약입니다.

[호출규약 : __cdecl]

Element Implementation

Argument-passing order

인자 전달 순서

Right to left

오른쪽에서 왼쪽 순서로 스택으로 전달

Stack-maintenance responsibility

스택 정리

Calling function pops the arguments from the stack

호출한 측에서 인자를 스택에서 꺼냄

Name-decoration convention

명명 규칙

Underscore character (_) is prefixed to names

이름 앞에 언더스코어(_)가 붙음

Case-translation convention

대소문자 변환

No case translation performed

대소문자 변환 없음

[호출규약 : __stdcall]

Element Implementation

Argument-passing order

인자 전달 순서

Right to left.

오른쪽에서 왼쪽 순서로 스택으로 전달

Stack-maintenance responsibility

스택 정리

Called function pops its own arguments from the stack.

불려진 함수가 스택에서 인자를 꺼냄

Name-decoration convention

명명규칙

An underscore (_) is prefixed to the name. The name is followed by the at sign (@) followed by the number of bytes (in decimal) in the argument list. Therefore, the function declared as int func( int a, double b ) is decorated as follows: _func@12

이름 앞에 _가 붙음. 이름 뒤에는 @표시가 붙고 그 뒤에 인자 목록의 바이트수가 10진수로 이어짐. 따라서, inf func( int a, double b )는 _func@12 와 같이 명명됨

Case-translation convention

대소문자 변환

None

없음


[호출규약 : __fastcall]
Element Implementation

Argument-passing order

인자 전달 순서

The first two DWORD or smaller arguments are passed in ECX and EDX registers; all other arguments are passed right to left.

처음 두 개의 DWORD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인자는 ECX와 EDX레지스터로 전달, 나머지 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택을 통해 전달

Stack-maintenance responsibility

스택 정리

Called function pops the arguments from the stack.

불려진 함수가 스택에서 인자를 꺼냄

Name-decoration convention

명명 규칙

At sign (@) is prefixed to names; an at sign followed by the number of bytes (in decimal) in the parameter list is suffixed to names.

이름 앞에 @가 붙음. 이름 뒤에도 @표시가 붙고 그 뒤에 인자 목록의 바이트수가 10진수로 이어짐.

Case-translation convention

대소문자 변환

No case translation performed.

변환 없음

'IT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To sscanf() Example Using a Comma (,) as Delimiter  (0) 2008.01.18
MSDN CFileDialog - 한글  (1) 2008.01.18
reentrant ; 재진입성  (0) 2007.12.28
삼성 코딩스타일(CodingStyle)  (0) 2007.12.22
Volatile [펌 www.debuglab.com]  (0) 2007.12.1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